• 스마트팜 시공 면적(m²)
    [현재누적]
  • 스마트팜 시공 건수
    [현재누적]

    EA
  • 작물 재배 레시피 보유 수
    [엽채류,허브,식용화,특용작물]

    EA
2021년 11월 현재
Indoor FARM
인도어팜[실내수직농장]의 가치
  • '깨끗함'
    농약과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아닌 씻지 않고 바로 먹을 수 있는 건강한 채소입니다.
  • '맛'
    작물의 생육환경을 스마트팜 기술로 제어하여 최상의 맛을 냅니다.
  • '신선함'
    장거리 운송 수단 없이 도시 근교에서 당일 생상된 신선한 채소를 공급합니다.
  • '생산효율'
    노지 대비 5% 미만의 물을 사용하며 동일 면적 노지 대비 40배 이상의 생산 효율을 보여줍니다.
SMARTFARM TYPE
타입별 스마트팜
  • 인도어형 스마트팜
    - 대량생산 목적의 양산형 수직농장
    - 엽채 대량생산 시설(T-FARMs)
    시설 면적에 따라 가공 ∙ 유통 시설
    병행 구축
    주요 Point
    - 100평 형 이상의 주요 재배생산 시설
    - 노지 ∙ 하우스 재배 대비 생산 효율성
    우수
    - 연중 정품/정량 생산체계 구현
  •  
  • 컨테이너형 스마트팜
    - 20/40피트 컨테이너 내 6단 Rack 적용
    - 내부 구성에 따라 고급형 ∙ 보급형 제품
    구성
    - 완제품 단계 해외수출 (일본,
    남극기지 등)
    - 완전 밀폐형 환경제어로 극지형 모델
    적합
    주요 Point
    - 실내외 좁은 면적 설치 가능
    - 다층 ∙ 다중 구조 설치 가능
  •  
  • 가정.영업용 스마트팜
    실내 설치 가능한 가전 개념의 재배기기
    - 영업용 제품 : 체험 및 서비스 운영 모델
    - 가정용 제품 : 자가 재배 및 소비 모델
    주요 Point
    - 소형 공기조화 및 양액공급
    - 원격 모니터링 및 지원
    - Silo 운영
  •  
  • 스마트 온실
  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보급형 스마트팜
    - 과채 등 생식·영양생장 작물
    - 지열 등 재생에너지 기반 시설
    - 단열성능 높은 소재 적
    주요 Point
    - 원격 관제
    - 구동기 자동제어
인도어형 스마트팜
- 대량생산 목적의 양산형 수직농장
- 엽채 대량생산 시설(T-FARMs)
시설 면적에 따라 가공 ∙ 유통 시설
병행 구축
주요 Point
- 100평 형 이상의 주요 재배생산 시설
- 노지 ∙ 하우스 재배 대비 생산 효율성
우수
- 연중 정품/정량 생산체계 구현
컨테이너형 스마트팜
- 20/40피트 컨테이너 내 6단 Rack 적용
- 내부 구성에 따라 고급형 ∙ 보급형 제품
구성
- 완제품 단계 해외수출 (일본,
남극기지 등)
- 완전 밀폐형 환경제어로 극지형 모델
적합
주요 Point
- 실내외 좁은 면적 설치 가능
- 다층 ∙ 다중 구조 설치 가능
가정.영업용 스마트팜
실내 설치 가능한 가전 개념의 재배기기
- 영업용 제품 : 체험 및 서비스 운영 모델
- 가정용 제품 : 자가 재배 및 소비 모델
주요 Point
- 소형 공기조화 및 양액공급
- 원격 모니터링 및 지원
- Silo 운영
스마트 온실
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보급형 스마트팜
- 과채 등 생식·영양생장 작물
- 지열 등 재생에너지 기반 시설
- 단열성능 높은 소재 적
주요 Point
- 원격 관제
- 구동기 자동제어
PlanT Farm's
technical elements
농업생명공학
- 신품종 육성 ∙ 개량 및 비료 ∙ 양액 개발
센서 ∙ 모니터링
- 실시간 생육환경 ∙ 정보 모니터링
로보틱스 ∙ 자동화 기술
- 무인화 ∙ 자동화 실시간 생육환경 제어
클라우드 ∙ 사물인터넷(IoT) 기술
- 인터넷 기반 원격 데이터 수집 ∙ 처리
빅데이터 ∙ 인공지능(AI) 기술
- 생육환경 변화의 실시간 예측 ∙ 대응
유통 관리 시스템
- 유통 이력인증 및 재고 ∙ 환경 정보